이전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IDE인 STS를 설치한다.
원래 자바 IDE는 이클립스나 인텔리제이를 주로 사용하는데, 인텔리제이는 유료다 보니 기업이나 학원에서는 무료인 이클립스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STS는 이클립스에 스프링 툴을 포함시킨 프로그램이다. 처음부터 스프링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클립스에다가 추가로 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Spring Tool Suite 3 · spring-attic/toolsuite-distribution Wiki · GitHub
Spring Tool Suite 3
the distribution build for the Spring Tool Suite and the Groovy/Grails Tool Suite - spring-attic/toolsuite-distribution
github.com
STS3 버전은 위 사이트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사이트에 접속하여 아래로 스크롤을 하면 위 이미지와 같은 부분이 나온다. 여기서 본인 OS 환경에 맞게 다운받으면 된다.
다운받아 압축을 풀면 sts-bundle이라는 폴더가 나오고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은 폴더들이 있다.
여기서 sts-3.9.18.RELEASE 라는 폴더가 실제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폴더다.
이 폴더는 내가 원하는 곳에 옮겨두면 된다. 나는 c드라이브로 옮겼다.
원하는 곳에 옮겨두고 폴더로 들어가 보면, 아래와 같은 파일들이 있다.
여기서 STS 실행파일은 나뭇잎 아이콘이 있는 파일이다.
이 파일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기본 작업 폴더를 설정하는 창이 나온다. 이거는 본인 편한대로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아래에 use this as the default and do not ask again 옵션은 체크하면 앞으로 현재 지정된 경로에 폴더를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앞으로 작업 폴더 선택부분을 물어보지 않겠다는 것인데 이거는 체크해제를 하였다.
그리고 launch를 클릭하면 이제 STS에 진입된다.
몇 가지 설정해줄 것들이 있는데, 우선 인코딩이다.
STS 상단 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를 누르고 general - workspace 탭에 들어가서 아래쪽에 text file encoding 부분을 utf-8로 설정한다. 이렇게 해야 한글이 깨지지 않는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자바 조건문(switch) (0) | 2025.03.17 |
---|---|
2-3 자바 조건문(if) (0) | 2025.03.17 |
2-2 자바 연산자 종류 (0) | 2025.03.17 |
2-1 자바의 변수 (0) | 2025.03.17 |
1-1. 자바 개발 환경 세팅(자바 설치)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