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Java

2-4 자바 조건문(switch)

oneidsin 2025. 3. 17. 14:22

1. switch 문

자바 조건문 중에서 switch문은 여러 개의 case 중 하나를 선택해서 실행하는 조건문이다.
기존 if문과 다른 것은 if문은 조건을 검사해서 실행하는 구조지만, switch문은 값을 검사해서 실행한다.

 

switch 문 구조

switch (변수) {
    case 값1:
        // 변수의 값이 값1과 같을 때 실행할 코드
        break;
    case 값2:
        // 변수의 값이 값2와 같을 때 실행할 코드
        break;
    case 값3:
        // 변수의 값이 값3과 같을 때 실행할 코드
        break;
    default:
        // 위의 모든 case에 해당하지 않을 때 실행할 코드
}

 

아래는 switch 문을 이용한 예제이다.

public class SwitchString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fruit = "apple";

        switch (fruit) {
            case "apple":
                System.out.println("사과입니다.");
                break;
            case "banana":
                System.out.println("바나나입니다.");
                break;
            case "orange":
                System.out.println("오렌지입니다.");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알 수 없는 과일입니다.");
        }
    }
}

 

이 예제에서 break문은 그 case를 만족하면 바로 종료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위 예제에서 banana를 입력했다면 '바나나입니다.' 가 출력되고 그 아래 부분은 출력되지 않는다.

 

자바에서 모든 문장은 { 대괄호로 시작했으면 } 대괄호가 닫히는 부분까지 차레대로 실행된다. 그래서 만약 break문을 삭제한다면 뭘 치더라도 switch문 안에 있는 문장들이 다 출력될 것이다.

 

그리고 default 문은 모든 case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 실행된다. if 문에서의 else 역할이다. 필수로 작성할 필요는 없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자바 조건문(if)  (0) 2025.03.17
2-2 자바 연산자 종류  (0) 2025.03.17
2-1 자바의 변수  (0) 2025.03.17
1-2 자바 개발 환경 세팅(STS 설치)  (0) 2025.03.17
1-1. 자바 개발 환경 세팅(자바 설치)  (0) 2025.03.17